'성경'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성경15

마태복음 27-28장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 2021.03.22 - [분류 전체보기] - 마태복음 26장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 마태복음 27장 빌라도에게 넘겨지심(27:1-2) 유다의 죽음(27:3-10) 빌라도에게 심문을 받으심(27:11-14) 그때 당시 공회는 사형과 관련된 재판권은 없었던 듯하다. 사형 재판은 빌라도, 총독만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굳이 총독에게 가서 재판이 진행된다. 11a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 빌라도에게는 유대인의 왕 죄목으로 고소되었다. 빌라도에게는 정치적 의미 으로 고소한 것이다. 예수님은 빌라도의 이 질문에 대해 유보적, 긍정적 답변을 하고 계신다. 틀리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예수님은 여전히 아무 대답도 안 하신다. 변명하지 않으신다. 14절 한마디도 안 하시니 총독이 놀랍게 여겼다. 자기 방어하지 않으시는 예.. 2021. 3. 22.
마태복음 21장~23장의 문맥에 비추어 24:1-35절의 논점들 정리 21장~23장의 문맥에 비추어 24:1-35절의 논점들 정리 마태복음 24장과 25장은 이야기와 가르침의 단락에서 마지막 가르침 단락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이 단락은 특별히 제자들에게 집중되어 있다. 21-23장의 내용을 근거로 한 24-25장에 나타난 하나의 주제는 넓게는 심판이라 할 수 있고, 24:1-35절의 주제는 이스라엘과 종교지도자들에 대한 심판(예루살렘 성전파괴)으로 볼 수 있다. 본 과제에서는 우선 심판이라는 주제의 근거가 되는 21~23장까지의 내용을 살피고 이에 비추어 24:1-35절의 구조와 내용을 분석하여 본문의 논점들을 정리하고자 한다. 21~23장의 단락과 내용 예루살렘 입성(21:1-21: 22) 마태는 예수님의 예루살렘 도착과 입성 과정에서 세 가지 상징적인 행동을 나타낸다... 2021. 3. 15.
마태복음 16장 베드로의 고백, 교회, 제자됨 베드로의 고백(16:13-16)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자신을 누구로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하는 필요성을 느끼신 듯하다. 그러나 먼저 사람들의 여론을 물으신다. 제자들은 더러는 세례 요한, 더러는 엘리야, 어떤 이는 예레미야라고 한다. 사람들은 예수님을 선지자 중의 한 사람으로 이해했음이 분명하다. 예수님을 선지자로 이해하고 있음은 긍정적이다. 그러나 아무리 긍정적이라 하더라도 예수님을 이해함에는 너무나 부족하다. 그래서 예수님은 제자들의 입장을 직접 질문하신다.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 그 질문에 대해 베드로는 예수님을 ‘그리스도’라고 고백한다. 무리들이 예수님을 선지자라고 고백했는데, 그것으로는 만족하지 못했다. 마침내 예수님이 그토록 기대했던 정답을 베드로가 말한다. 베드로에 대한 예수님의 호의적인 .. 2021. 3. 15.
마태복음 13장 (2) 하나님 나라 비유 해설 비유 해설 씨 뿌리는 자의 비유(13:3-9, 18-23) 1세기 당시의 농사법에 대해서는 학자들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된다. 씨 뿌리는 자가 좋은 밭에 뿌리려고 하겠지만, 돌밭도 가시덤불에도 씨가 뿌려질 수밖에 없다. 그렇다 하더라도, 마태복음 안에서는 회실 되는 씨앗이 지나치게 많다. 헬라어 본문에 보면, 더러는, 더러는, 더러는... 이렇게 되어있다. 어떤 것들은, 어떤 것들은... 다 복수이다. 마가복음에는 하나는, 하나는, 하나는, 어떤 것들은...이라고 표현한다. 마태는 모두가 복수이다. 게다가 해설에 가서는 모두가 단수이다. 심지어 좋은 밭에 뿌린 씨앗도 단수이다. 마태는 의도적으로 네 밭에 같은 양의 씨앗이 뿌려짐을 의도적으로 알려준다. 11-12장에 비추어 봤을 때, 회실 되는 씨앗이 더 .. 2021. 3. 15.
마태복음 13장 (1) 하나님 나라 비유 해설 마태복음 10장에서는 제자들의 선포, 대상은 이스라엘으로써, 이스라엘 복음화의 긴급성과 절박함을 그리고 있다. 11-12장에서는 복음에 대한 이스라엘의 불신앙과 거절의 모습을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왜 이런 일이 발생하는가에 대한 답이 13장이다. 이스라엘이 그렇게 기다리던 메시아가 와서 복음을 선포하는데, 왜 이렇게 이스라엘은 냉담하는가? 이러한 현상이 정상적인가? 여러 가지 질문을 가지고 있을 청중들, 제자들에게 예수님은 그 이유를 비유들을 통해서 13장에서 소개하신다. 13장에는 8개의 비유가 체계적으로 소개되고 있다. 서론 13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비유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성경에서 사용되는 비유라는 개념을 이해함이 필요하다. ● 구약에서는 ‘마샬’: 속담, 풍자, 수수.. 2021. 3. 15.